가비아 도메인 CNAME 레코드 추가하여 서브 도메인 만들기

도메인 1년 사용 비용이 보통 1~2만원 정도 합니다. 닷컴 도메인의 경우는 부가세에 부가서비스(등록 정보 숨김 등)까지 이용하면 25,000원 정도 합니다. 대부분의 블로거들은 이 비싼 도메인을 블로그에만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도메인에 CNAME 레코드 혹은 A 타입 레코드를 설정하면 하위 도메인(서브 도메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서브 도메인은 또 다른 블로그에 사용하거나 사이트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한다면 서브 도메인을 자신의 SNS로 포워딩 시킬 수도 있습니다. 서브 도메인은 무료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물론 포워딩도 무료입니다. 도메인 관리 업체마다 다르지만 보통 100개까지 서브 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10개 정도의 서브 도메인이면 충분하죠.

가비아 도메인 CNAME 레코드 설정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이름(예시 domain.com)에 다른 이름을 부여하는 DNS 레코드 유형입니다. 예를들면 domain.com이라는 도메인에 sub.domain.com이라는 다른 이름을 설정하여 서브 도메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blog.tistory.com 도메인의 블로그에는 domain.com을 연결하고, blog.naver.com 블로그에는 sub.domain.com이 연결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A 타입 레코드를 이용하면 아이피로 도메인이 연결되게 할 수 있습니다. 예시 192.168.0.1에 domain.com을 연결.

CNAME 레코드는 도메인 DNS 관리에서 추가 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도메인에 CNAME 레코드를 추가하여 서브 도메인 만드는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DNS 레코드 설정, CNAME 레코드 추가

가비아 인덱스 페이지에서 My가비아 클릭

가비아 사이트에서 로그인한 후 상단 우측의 My가비아 버튼을 클릭합니다.

My가비아 페이지에서 도메인 관리툴 클릭

My가비아 페이지가 열리면 하단 도메인 목록에서 CNAME 레코드를 추가하려는 도메인 우측의 관리툴 버튼을 클릭합니다.

도메인 상세 페이지에서 DNS 레코드 설정 클릭

관리툴 버튼을 누르면 새 탭에서 도메인 상세 페이지가 열리는데요. 페이지 하단의 DNS 레코드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 버튼을 누르면 확인 창이 열릴 것인데요.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DNS 설정에서 도메인 설정 클릭

DNS 설정 페이지가 새 탭으로 열립니다. CNAME 레코드를 추가하려는 도메인 우측의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메인 DNS 설정에서 레코드 추가

해당 도메인의 DNS 설정 페이지가 열립니다. 도메인 DNS 설정 페이지에서 레코드 추가를 누르면 새 레코드 입력 행이 추가 됩니다.

타입을 CNAME으로 선택한 후 호스트 및 값 입력

타입은 CNAME으로 선택합니다. 호스트에는 서브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고, 값에는 연결될 주소를 입력합니다. TTL은 3600(초)로 설정하면 됩니다.

 

예를들어 서브 도메인 주소가 blogger.blogspot.com이고, 구글 블로거에 연결할 것이라면 호스트에는 blogger를 입력하면 됩니다. 값에는 ghs.google.com.을 입력하면 됩니다. 설정을 마쳤다면 우측의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설정한 내용으로 CNAME 레코드가 입력됩니다.

두 번째  CNAME 레코드 입력한 후 저장

구글 블로거 도메인 연결 시 두 번째 CNAME 레코드의 호스트 및 값도 표시되는데요. 새 레코드를 추가한 후 두 번째 CNAME 레코드도 입력해 줍니다. 두 개의 CNAME 레코드 설정을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두 개의 CNAME 레코드가 저장 됩니다. 30분 ~ 2시간 정도면 설정한 CNAME 레코드가 반영되고요. 이후부터는 blogger.blogspot.com으로 구글 블로거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가비아 도메인 관리는 보시다시피 설정 메뉴 진입이 너무 복잡합니다. My가비아에서 클릭 4번에 새 탭 2개 띄워야만 도메인 DNS 설정 페이지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끝낼 수 있는 것을 왜 저렇게 복잡하게 만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My가비아 도메인 목록 우측에 설정 버튼 주륵 놓거나 드롭 다운 메뉴(펼침 메뉴)로 하였더라면 클릭 한 번으로 설정에 진입할 수 있는데 말입니다. 끝~

댓글 작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