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키워드 검색량 및 블로그 검색 반영 여부 확인하기

블로그 방문자와 키워드

블로그를 운영하며 방문자를 신경 쓰지 않는 블로거는 아마도 거의 없을 겁니다. 있긴 있겠지만 극소수이죠. 블로그를 즐겨 찾기 도구 등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모든 블로거들이 방문자에 신경을 쓴다고 봐도 될 것입니다. ‘나는 그렇지 않다’라고 하는 블로거는 그저 말만 그럴 뿐이지 실제로는 방문자 신경 씁니다. 신경 안 쓰는 블로거는 블로그를 즐겨 찾기 도구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인데요. 이런 분들은 자신이 블로그를 운영한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딴 나라 딴 세상 얘기죠. ‘그러던지 말던지’죠.

네이버 키워드

블로그 방문자는 다양한 경로로 유입됩니다. 이에 블로거들은 검색, SNS, 커뮤니티, 광고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유입을 도모할 수 있는데요. 가장 기본적인 것이 검색이죠. 가장 중요한 것이 검색이죠. 브랜딩이 확실하게 되어 있다면 모를까 거의 대부분의 블로그는 검색 유입 의존도가 높습니다.

검색 엔진을 통한 방문자를 유입을 증가 시키려면 그렇습니다. 키워드가 선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절대적이라고 봐도 될 정도입니다. 일부 특정 채널을 목표로 운영하는 블로그가 아닐 경우라면 키워드 및 검색 결과 노출 위치에 따라 방문자 유입 숫자가 크게 달라 집니다.

웨어이즈포스트 제공 서비스

웨어이즈포스트 사이트를 이용하면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키워드 광고에서도 키워드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네이버 키워드 광고에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긴 하지만 단순히 키워드 검색량만 확인할 목적일 경우에는 다소 불편한 감이 있죠. 웨어이즈포스트 사이트는 쉽고 간단하게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정말 쉽게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웨어이즈포스트에서는 블로그 발행 글의 네이버 블로그 영역 색인 여부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검색 반영 여부와 키워드 조회는 회원 가입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검색 반영 여부 확인하기

네이버 블로그 검색 반영 여부 확인하기

웨어이즈포스트에서 도메인을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발행된 글의 네이버 검색 반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 중 블로그 영역의 검색 반영 여부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태에 녹색 마크가 뜨면 네이버 블로그 영역에 해당 글이 반영 되어 있는 것입니다. 색인이 반영 되어 있으면 당장은 검색에 더 이상 신경 쓸 것이 없습니다. 검색 순위 문제가 남아 있긴 하지만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통해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 하는데요. 네이버 검색은 검색 엔진이 아니기에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이 통하지 않습니다. 타 플랫폼을 이용하여 네이버 검색 엔진 최적화 작업을 하는 것 보다 네이버 블로그/카페 등의 네이버 플랫폼에 글을 발행하는 편이 훨씬 유리합니다.

네이버 블로그 검색 반영 안된 글

검색 반영이 안되어 있는 글은 위와 같이 상태에 붉은색 X표가 표시 됩니다. 색인이 안되어 있는 글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이용하여 색인 요청을 해주면 되겠죠. 목록에서 제목 항목을 클릭하면

네이버 검색 연산자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및 문장 검색

요래 네이버 검색(블로그 영역)에서 네이버 검색 연산자를 이용하여 해당 게시물의 검색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100% 완벽하게 색인 반영 여부를 체크 하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100% 완벽한 것 같진 않지만 그래도 수작업으로 확인하는 것보다는 정확도가 높고 또한 시간이 절약되니 잘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무엇보다 해당 서비스가 무료이니 이 정도 오류는 이해하며 사용해야죠.

네이버 검색 키워드 검색량 확인하기

키워드 입력 후 검색

키워드 마스터를 이용하면 네이버 키워드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 검색량과 모바일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고요. 총 조회수, 문서수, 경쟁도, 블로그 순위 등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는 검색량이나 총조회수 보다는 경쟁도와 블로그 순위를 확인하는 것이 좋겠죠. 티스토리 등의 외부 플랫폼에서는 경쟁도가 높은 키워드에서 네이버 블로그보다 검색 순위가 높게 자리 잡지 못하니 말입니다. 티스토리 등의 외부 블로그는 틈새 시장을 공략하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 키워드 네이버 검색량 조회

키워드 검색하면 상단에 관련 키워드도 뿌려집니다. 관련 키워드를 클릭하면 목록에 추가되며, 해당 키워드의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키워드를 다다닥 클릭하면 모든 연관 키워드의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으니 잘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쇼핑 키워드 검색

네이버 쇼핑 키워드량 조회

블로그에는 큰 의미 없지만 셀러마스터를 이용하면 상품 키워드의 검색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축 URL

FlashUrl 단축 주소 서비스 소개

웨어이즈포스트 사이트 메뉴에 단축 URL 서비스(FlashUrl)가 링크로 걸려 있는데요. 이 단축 서비스는 패스하시면 되겠습니다. 단축 주소는 무엇보다도 단축 주소의 생명이 중요합니다. 언제 죽을지 모르는 시한부 인생의 단축 주소 서비스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단축 주소 서비스가 종료되면 해당 단축 주소로 생성한 단축 주소가 모두 데드 링크가 되어 버리기 때문입니다. 몇 달 후면 구글의 단축 주소 서비스 goo.gl도 서비스를 종료 합니다. 구글이기에 서비스 종료 후에도 단축 주소 사용이 가능한 것이지 다른 서비스들은 어림 없습니다. 기존의 단축 주소 서비스들은 서비스 종료와 동시에 단축 주소들이 모두 데드 링크로 되어 버렸습니다. 이에 단축 주소 서비스는 많이 알려지고 유명한 비틀리(bitly) 등의 단축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검색 사이트는 키워드 보다 SEO가 중요할 수 있다

키워드 정말 중요합니다. 블로그는 물론이고 거의 모든 인터넷 사이트에서 방문자 유입을 위해 가장 크게 신경 써야 할 부분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검색 사이트(검색 엔진)에서는 키워드 선정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검색 엔진 최적화(SEO)가 더 중요할 때도 있습니다. 이 보다는 키워드와 SEO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하는 것이 맞겠네요. 키워드와 SEO는 떼어 놓을 수 없는 관계입니다. 키워드 선정만 잘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글이 검색 결과 상단에 노출 되어야만 그 키워드도 빛을 볼 수 있으니까요. 키워드와 SEO는 연관성이 깊다 못해 한 몸처럼 움직인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끝~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