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물 목차
단축 주소 서비스 비틀리
구글 단축 주소 서비스(goo.gl)가 올 봄에 서비스를 종료 합니다. 웹법사가 알기로는 3월 30일 서비스를 종료하는데요. 비로그인 사용자는 이미 2018년 4월 13일 서비스가 종료 되었지만, 기존의 사용자들은 서비스 종료일까진 단축 주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서비스 종료가 두 달 남짓 남았기에 다른 단축 주소 서비스를 이용하는 편이 낫죠.

구글은 단축 주소 goo.gl을 FDL(Firebase Dynamic Links)로 이행한다고 하는데요. 글쎄요. 기존 goo.gl 서비스처럼 쉽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일반 사용자들은 비틀리(Bitly)로 대거 옮겨가겠죠. 구글 조차도 goo.gl 대안으로 비틀리와 Ow.ly을 언급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참고로 기존 모든 goo.gl 단축 주소는 서비스 종료 후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데드 링크가 되지 않으니 안심해도 됩니다.
비틀리는 구글 단축 주소 서비스(goo.gl)보다 형입니다. 먼저 세상에 선보였으니까요. 사용자도 형님급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비틀리 단축 주소 서비스도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크롬 브라우저에서 보다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크롬 확장 프로그램 비틀리(Bitly)

크롬 웹 스토어 Bitly | Unleash the power of the link 페이지에 방문하면 비틀리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위와 같이 메뉴에 비틀리 아이콘이 생성 됩니다.

비틀리 확장 프로그램은 비틀리 사이트에 회원 가입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계정, 페이스북 계정, 트위터 계정으로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 아이디로 가입할 경우에는 비틀리의 계정 사용 승인을 해주면 됩니다.

이메일을 입력한 후

리캡챠 이미지로 로봇이 아님을 확인 합니다.

허용 버튼 클릭하면 마무리 되네요. 나중에 수신함에 도착한 메일에서 이메일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확인해 주면 됩니다.
비틀리 단축 주소 생성 및 통계 확인

크롬 브라우저 메뉴의 비틀리 아이콘을 클릭하면 위와 같이 왼쪽 상단에 작은 창이 열리며 해당 페이지의 단축 주소가 생성 됩니다.

클릭 시 단축 주소가 자동 생성되고, 클립 보드로 자동 복사 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설정에서 해당 설정을 해제 시켜주면 됩니다.

생성한 비틀리 단축 주소는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입한 SNS 계정 로그인 상태에서 가입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이미 가입하였다면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 되겠죠.

요런 창이 뜨면 적당한 것을 선택해 주던가 아니면 빈 곳을 클릭하여 패스해도 되네요.

비틀리 단축 주소 통계 페이지입니다. 상단에서 누적 통계를 확인할 수 있고, 왼편의 생성한 단축 주소 목록을 이용하여 개별 단축 주소의 통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