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있는 수많은 웹페이지들의 수명이 고작 9년 정도 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평균 수명이 9년이니 더 오래 살아 있거나, 더 짧은 경우도 있겠지요. 사이트 혹은 웹페이지의 잘못된 하이퍼 링크나 404 페이지를 가르키는 죽은 링크는 업데이트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살아 있는 웹페이지로 링크를 교체하거나 하이퍼 링크를 제거해 주는 방법으로 업데이트 해주면 됩니다.

웹페이지의 잘못된 하이퍼 링크와 죽은 링크는 죽은 링크를 체크해주는 웹서비스나 사이트맵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A1 Sitemap Generator 9와 같은 유료 사이트맵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사이트의 죽은 링크들을 모조리 찾아 낼 수 있는데요. 문제는 유료라는 것이죠.
유료 결제가 부담스럽다면 무료로 죽은 링크를 찾아 주는 웹서비스를 이용하면 됩니다. 전체 웹페이지의 죽은 링크를 찾아 낼 수는 없지만 2~3천 개 페이지의 죽은 링크는 찾아 낼 수 있습니다. dead link checker 서비스를 이용하면 2천개 페이지까지 체크할 수 있는데요. 아래 소개하는 Online Broken Link Checker 서비스를 이용하면 3천 개 페이지까지 죽은 링크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xml sitemap generator의 사이트맵 생성 서비스를 이용하면 전체 웹페이지의 죽은 링크도 찾아 낼 수 있긴 합니다. 사이트맵 생성 시간이 상당히 긴 문제가 있긴 하지만요.
죽은 링크 찾기 Online Broken Link Checker

Online Broken Link Checker 사이트에 방문합니다. 위와 같이 생긴 사이트인데요. 무료로 웹사이트 및 블로그의 죽은 링크를 체크해 줍니다.

도메인 주소를 입력한 후 깨진 링크 찾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도메인 주소는 위와 같이 https://이나 http://은 제외하고 문자 부분만 넣어주면 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의 경우 SSL 적용 후 www와 non-www 겸용 접속이 허용되지 않고 있는데요. 혹시 모르니 접속 가능한 주소로 넣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도메인 입력한 후 깨진 링크 찾기를 클릭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가 열리는데요. 보안 문자 입력한 후 옵션 선택하고 깨진 링크 찾기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옵션은 Report distinct broken links only와 Report all occurrences of each dead link (may be slower)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옵션을 선택하여 진행하면 죽은 링크만 찾아져야 하지만 timeout, bad host 등의 링크도 검색됩니다.

입력한 도메인에서 죽은 링크 체크를 시작 됩니다. 진행 상태가 표시되고, 잘못된 링크가 발견되면 하단에 표시 됩니다.

죽은 링크 체크가 완료되면 위와 같이 Broken link 리스트로 잘못된 링크나 죽은 링크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roken link에 표시된 주소들이 잘못된 링크이거나 죽은 링크들입니다. 서버 응답에 404, bad host, timeout 등으로 구분 되는데요. 404로 표시되고 있는 죽은 링크를 업데이트 해주면 됩니다. 우측의 url이 잘못된 링크 혹은 죽은 링크가 있는 웹페이지의 링크이네요.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