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On MU3 PH6 3D SSD 120GB 성능 벤치마크

뺏었다, SSD 3개를 뺏었습니다. 지인의 노트북 저장 공간을 확장하기 위해 또 다른 지인에게 사용하지 않는 SSD가 있다면 좀 달라고 했습니다. 그렇게 구걸을 가장하여 3개의 SSD를 뺏었습니다.

받았다라고 해야 하는 것이 맞는데요. 왠지 받았다고 하면 기업에서 협찬 받은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선물 받았거나 얻은 것들은 뺏었다 카테고리에 올릴 생각입니다.

LiteOn MU3 PH6 3D SSD

3개의 SSD 중에 우선 먼저 라이트온(LiteOn)이란 회사에서 만든 MU3 PH6 3D SSD 120GB를 소개하겠습니다.

 

얻은 것이기에 오래된 구형 SSD가 아닐까 생각했는데요. 2018년 상반기에 출시된 제품인 것 같습니다. 2.5인치 사타 SSD이기에 성능에는 큰 영향이 없겠지만 그래도 땡잡은 느낌이라 기분이 좋습니다. 참고로 최근 몇 년 동안 출시된 SSD는 용량이 같고 인터페이스가 같다면 성능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도토리 키재기 수준입니다.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패키지 박스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패키지 박스입니다. 박스 전면에 주요 스펙이 적혀 있습니다. 2.5인치, 사타 6Gb/s, 3D 낸드 플레시, 워런티 3년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구성품

구성품은 SSD와 간단 설명서만 들어 있습니다.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스펙

제조사가 공개한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의 스펙 및 성능은 위와 같습니다. 최대 읽기/쓰기 속도, 컨트롤러, 보증 시간, 플래시 낸드 종류, 지원 기능, 품질 보증 기간 정도만 확인 하시면 됩니다. 물론 가격은 기본으로 확인해야 하겠고요.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이하 MU3 SSD 120GB)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가 혼용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제조사에 따라 약간의 성능 차이가 발생할 것 같습니다.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전면

MU3 SSD 120GB는 위와 같이 생겼습니다.

라이트온 MU3 PH6 3D SSD 120GB 후면

뒷면은 이렇게 생겼습니다. 짝퉁이 나올 정도의 제품은 아닌 것 같으니 외형은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을 것 같습니다.

SSD는 데스크탑 혹은 노트북 안에 장착되는 것이기에 디자인은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성능이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안정성, 보증 기간, AS가 중요합니다. SSD의 안정성은 더 이상 논할 필요가 없는 것 같으니 빼도 될 것 같긴 합니다. 하나 더 꼽자면 무게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트북에 장착할 SSD는 가벼울수록 좋으니 말입니다.

MU3 SSD 120GB 무게

MU3 SSD 120GB의 무게는 36.91g입니다. 제조사 스펙에는 75g으로 비교적 무거운 무게이었는데요. 절반 정도 수준입니다.

볼펜 무게

4색 볼펜 3개 보다 가볍습니다. 거짓말 안하고 보통의 일반적인 SSD는 바람 강하게 불면 날아갈 정도로 가볍습니다. 바람이 부는 곳에 놓고 사용하는 제품이 아니기에 날아갈 일은 없지만 말입니다.

2.5인치 7mm SSD

MU3 SSD 120GB는 2.5인치 크기이고 7mm 두께입니다. 확장이 가능한 노트북에도 장착 가능합니다.

SSD-Z

SSD-Z로 낸드 플레시 메모리를 확인하려고 하였으나 확인이 안됩니다. 공정, 종류는 물론이고 컨트롤러 정보도 조차도 확인이 안됩니다. 정보를 찾아 보니 MU3 SSD 120GB의 메모리 타입은 TLC이고, 컨트롤러는 파이슨 S10이네요.

SSD-Z

참고로 삼성 SSD 850 EVO 120GB의 경우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공정, 종류도 확인이 가능하고 컨트롤러 등을 정보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MU3 SSD 120GB

크리스탈 디스크 인포로 간략한 정보를 확인해 보니 응? 사용 횟수와 사용 시간이 어헐~ 땡 잡았습니다. 15회에 5시간이라니 어이쿠 정말 감사합니다~

MU3 PH6 3D SSD 120GB 속도 측정 결과

MU3 SSD 120GB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로 벤치 마크를 해보았습니다. 클린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 순차 읽기 속도가 561MB/s, 순차 쓰기 속도가 496MB/s로 측정 되었습니다. 쓰기 속도가 약간 아쉽지만 나쁘지 않은 속도입니다. 제조사 스펙이 560/460이었으니 일부 사용자들은 실 사용 시 좀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K 읽기 속도 32MB/s, 4K 쓰기 속도는 105MB/s로 측정 되었습니다. 4K 속도도 나쁘지 않습니다. 2.5인치 사타 SSD(TLC) 치고는 제법 빠른 속도이네요.

 

SSD 속도 측정 결과 중 실제 체감 속도는 4KiB Q8T8/4KiB Q32T1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4KB 묶음 전송 속도는 1쓰레드와 8쓰레드가 거의 차이가 없네요.

MU3 PH6 3D SSD 120GB 속도 측정 결과

AS SSD Benchmark 벤치 마크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순차 속도가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 보다 다소 느리게 측정 되었습니다. 4K도 약간 더 느리게 측정 되었고요. 스코어 점수는 946으로 보통의 사타 SSD(TLC) 120GB 정도 수준입니다.

MU3 PH6 3D SSD 120GB 읽기 속도

HD Tune Pro 읽기 속도 벤치마크 결과는, 최대 속도가 450MB/s로 측정 되었고, 평균 속도는 445MB/s로 나왔습니다. 최소 속도가 235MB/s를 기록하였는데요. 초반에 한 번 출렁 했을 뿐이고 이후로 안정적인 속도를 보여주었습니다.

MU3 PH6 3D SSD 120GB 더티 테스트

나래온 더티 테스트 프로그램도 돌려 보았습니다. 초반에 크게 요동치고

MU3 PH6 3D SSD 120GB 더티 테스트

이후로 계속해서 요동 쳤습니다. 더티 테스트 결과는 최대 속도 506MiB/s, 최소 속도 13MiB/s, 평균 속도 228MiB/s를 기록하였습니다.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은 2.2%로 기록 되었습니다. 나래온 더티 테스트 프로그램으로 고작 4개의 SSD만 테스트 해보았기에 이런 속도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을 못하겠습니다.

 

MU3 SSD 120GB 속도 벤치 마크는 운영체제가 설치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행한 것입니다. 아무것도 저장 되지 않은 클린 상태에서 테스트한 것이기에 운영체제 설치 상태에서의 속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삼성 SSD 850 EVO 120GB 속도 측정 결과

운영체제가 설치 되어 있는 사용률 84%의 삼성 SSD 850 EVO 120GB의 속도는 위와 같습니다. 실제 사용 중인 윈도우10에서 실행한 벤치마크 결과 입니다.

2018년도 8월 말 에누리 최저가 기준으로 삼성 SSD 850 EVO 120GB의 가격은 68,950원이고, MU3 SSD 120GB의 가격은 32,900원입니다. 가격만 보면 반값입니다.

AS와 안정성을 약간 포기하면 MU3 SSD 120GB 2개로 가성비 깡패 짓도 할 수 있습니다. 레이드0(RAID 0)으로 묶으면 삼성 SSD 850 EVO 120GB 따위와 비교할 속도 수준이 아니니 말입니다. 하지만 저처럼 귀차니즘이 심하거나 안정성과 AS를 중요하게 생각하신다면 삼성 SSD 850 EVO 120GB를 권장 드립니다. 끝~

관련 게시물

레노버 노트북 330S-15IKB SSD 추가 방법

HDD/SSD 속도 벤치마크 프로그램 Crystal Disk Mark 6

하드디스크 SSD 인식 불가 문제 디스크 초기화로 해결하기

efi 시스템 파티션 문제 diskpart 디스크 초기화로 해결하기

인텔 옵테인 메모리 단점 장점 살펴보기

댓글 작성하기